안녕하세요.
벌써 4개째 카투사 관련 글을 뽑아내고 있는 azunyaa입니다.
이번에는 KTA에 가서 보게 되는 ELT 시험에 나오는 단어들과 계급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ELT 단어장
ELT란 군사 영어 교육으로 미군의 규정, 약어 예절등을 교육하는 수업입니다. 한국인 군무원이 5일간 교육하고 시험을 치는데 통과기준은 70점 입니다. 실제로 자대 배치를 받고 나서 매우 많이 쓰이는 단어들이기 때문에 시험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원활한 군대 생활을 위해서 알아둬야 하는 중요한 단어들 입니다.
단어수는 대략 50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도 자가격리 기간이나 개인 정비시간에 틈틈히 외울 생각입니다. 아래는 ELT 단어장에서 약어부분만 뽑아낸 표입니다.(모두 옮기는 건 너무 힘들어서...)
Abbreviated | Full Term | Translation in Korean |
AA | Assembly Area | 집결지 |
AAR | After Action Review | 사후 감평 |
ACH | Advanced Combat Helmet | 방탄모(개량형) |
ACS | Army Community Service | 육군복지체계 |
ADA | Air Defense Artillery | 방공포병 |
ADCON | Administrative Control | 행정 통제 |
AK | Army in Korea | 주한미육군 |
AKO | Army Knowledge Online | 미육군 지식 포털 사이트 |
ALCON | All Concerned | 관계자 전원 |
Ammo | Ammunition | 탄약 |
AO | Area of Operation | 작전지역 |
AOI | Area of Interest | 관심지역 |
AOR | Area of Responsibility | 책임지역 |
APO | Army Post Office | 육군 군사우체국 |
AR | Army Regulation | 육군 규정 |
ARCOM | Army Commendation Medal | 육군 표창훈장 |
ATP | Alliance Training Plan | 동맹훈련계획 |
BDA | Battle Damage Assessment | 전투피해평가 |
BII | Basic Issue Item | 기본지급품목 |
BOSS | Better Opportunities for Single Soldiers | 독신장병 복지향상제도 |
CAC | Community Activity Center | 공동활용센터 |
CAC | Common Access Card | 신분증 겸 전산망접속카드 |
CALFEX | Combined Arms Live Fire Exercise | 제병협동 실사격훈련 |
CASEVAC | Casualty Evacuation | 사상자 후송 |
CBRN |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or Nuclear | 화생방 또는 핵 |
Cdr | Commander | 지휘관, 사령관 |
CFC | Combined Forces Command | 연합사 (한미연합군사령부) |
CG | Commanding General | (장성급)사령관 |
CIF | Central Issue Facility | 중앙장비지급소 |
CLS | Combat Life Saver | 야전응급조치요원 |
COA | Course of Action | 방책 |
COC | Code of Conduct | 복무신조 |
COC | Change of Command | 지휘관 이취임 |
CofS | Chief of Staff | 참모장 |
COMSEC | Communication Security | 통신보안 |
CONOPS | Concept of Operation | 작전개념 |
CONPLAN | Contingency Plan | 우발계획 |
CP TANGO | Command Post Theater Air, Naval, Ground Operations | 전구 작전지휘소 |
CPX | Command Post Exercise | 지휘소 연습 |
CQ | Charge of Quarters | 당직 |
DCO | Deputy Commander | 부지휘관, 부사령관 |
DEFCON | Defense Readiness Condition | 데프콘 (방어준비태세) |
DEROS | Data Eligible to Return from Overseas | 귀국예정일 |
DMZ | Demilitarized Zone | 비무장지대 |
DOD | Department of Defense | 미국방성 |
DPW | Directorate of Public Works | 시설물 관리처 |
DSN | Defense Switched Works | 미국방교환망 |
EDRE | Emergency Deployment Readiness Exercise | 비상전개 (준비태세훈련) |
EIB | Expert Infantry Badge | 우수보병 기장 |
EO | Equal Opportunity | 기회균등 |
EOC | Emergency Operations Center | 비상작전본부 |
ETS | Expiration Term of Service/Estimated Time of Separation | 전역일자 |
FA | Field Artillery | 야전포병 |
FE | Foal Eagle | 독수리 훈련 |
FLC(“Fliek”) | Fighting Load Carrier | 야전전투조끼 |
FM | Field Manual | 야전교범 |
FOUO | For Official Use Only | 대외비 |
FPCON | Force Protection Condition | 부대 방호 태세 (의 등급) |
FRAGO | Fragmentary Order | 단편명령 |
FY | Fiscal Year | 회계연도 |
GOC | Ground Operations Command | 지상작전사령부 (지작사) |
GOV | Government Owned Vehicle | 관용차량 |
HHC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 (본부 및) 본부중대 |
HMMWV | High Mobility Multipurpose Wheeled Vehicle | 다목적 전술차량 (험비) |
HQDA |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 미육군 본부 |
IAW | In Accordance With | ~에 의거 |
IED | Improvised Explosive Device | 급조폭발물 |
IFAK | Improved First Aid Kit | 야전구급키트 (개량형) |
IG | Inspector General | 감찰감, 감찰병과 |
IOTV | Improved Outer Tactical Vest | 방탄조끼 |
IPR | In Process Review (Report) | 중간검토 (보고) |
JCS | Joint Chiefs of Staff | 합동참모본부 |
KATUSA | Korean Augmentation to the US Army | 미육군 증강 한국군 |
KR | Key Resolve | 키리졸브 연습 |
LNO | Liaison Officer | 연락장교 |
LOC | Line of communication | 병참선 |
LSA | Life Support Area | 숙영지역 |
MABA | Main Battle Area | 주 전투지역 |
MEC | Mission Essential Civilian | 임무 필수 민간인 |
METL | Mission Essential Task List | 임무 필수과제 목록 |
MND |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한국 국방부 |
MOLLE | Modular Lightweight Load-carrying Equipment | 모듈형 전투배낭 |
MSC | Major Subordinate Command | 주요 예하 사령부 |
MSR | Main Supply Route | 주 보급로 |
NEO | Noncombatant Evacuation Operation | 비전투원 수송작전 |
NFA | No Fire Area | 사격금지구역 |
nKA/nKPA | North Korea Army/North Korean People’s Army | 북한군 |
OP | Observation post | 관측소 |
OPCON | Operational Control | 작전 통제(작통) |
OPFOR | Opposing Forces | 대항군 |
OPORD | Operation Order | 작전명령 |
OPSEC | Operation Security | 작전 보안 |
Ord | Ordnance | 병기 |
PAO | Public Affairs Office | 공보실 |
PAX | Passengers/Personnel | ~명 (세는 단위) |
PDS | Personnel Daily Summary | 일일병력 요약 보고 |
PLL | Prescribed Load List | 규정휴대량 목록 |
PM | Provost Marshal | 헌병 대장 (참모) |
PMCS | Preventive Maintenance Checks & Services | 예방정비 검사 및 지원 |
POC | Point of Contact | 연락처, 담당관 |
POW | Prisoner of War | 전쟁포로 |
PSG | Platoon Sergeant | 부소대장 |
PSYOP | Psychological Operations | 심리작전 |
QTB | Quarterly Training Brief | 분기별 훈련보고 |
RECON | Reconnaissance | 수색, 정찰 |
REDCON | Readiness Condition | 준비태세 |
RELROK | Releasable to Republic of Korea | 한측 공개가능 |
ROADCON | Road Condition | 도로상황 |
ROC Drill | Rehearsal of Concept Drill | 훈련개념발전 예행연습 |
ROE | Rules of Engagement | 교전규칙 |
RSOI | Reception, Staging, Onward Movement, and Integration | 연합 전시증원 |
SAEDA | Subversion and Espionage Directed against the Army | 미 육군 군사보안 업무 |
SAW | Squad Automatic Weapon | 분대자동화기 |
SHARP | Sexual Harassment/Assault Response and Prevention | 성범죄 대응 및 예방 |
SIR | Serious incident Report | 주요사건보고 |
SITREP | Situation Report | 상황보고 |
SOFA | Status of Forces Agreement | 한미행정협정 |
SOI | Signal Operation Instruction | 통신운용지시 |
SOP | Standard(Standing) Operating Procedure | 예규 |
T/O&E | Table of Organization and Equipment | 편제장비표 |
TBD | To Be Determined | 추후결정 |
TCP | Traffic Control Point | 교통통제소 |
TIS | Time is Service | 복무기간 |
TMP | Troop Leading Procedures | 수송부 |
TOC | Transportation Motor Center | 전술작전본부 |
TTP | Tactics, Techniques, and Procedures | 전술, 전기 및 절차 |
UBL | Unit Basic Load | 부대 기본휴대량 |
UCMJ | Uniform Code of Military Justice | 군인복무규율 (미군법) |
UFG | Ulchi Freedom Guardian |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 |
UNC | United Nations Command | 유엔군 사령부 |
USFK | United States Forces Korea | 주한미군 |
VTC | Video Teleconference | 원격 화상회의 |
WARNO(RD) | Warning Order | 준비명령 |
WATCHCON | Watch Condition | 정보감시태세 |
WMD |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대량살상무기 |
XO | Executive officer | 보좌관, 선임장교 |
미 육군 계급표
국군과 미군의 계급표를 완전히 대치되지는 않지만 비슷하게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군생활을 하면서 달게 될 계급장만 용어를 정리해 보면
PVT = Private | E-1 | 훈련병 |
PV2 = Private2 | E-2 | 이병 |
PFC = Private First Class | E-3 | 일병 |
CPL = Corporal | E-4 | 상병 |
SGT = Sergeant | E-5 | 병장 |
카투사는 주한미8군 소속 육군이기 때문에 계급장은 한국군 계급장을 사용하고 군복무 축소에 따라 육군 훈련소와 KTA를 수료하면 바로 일등병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간단하게 ELT단어와 계급을 알아보았습니다. 계급 관련 내용과 제식 용어 그리고 추가적으로 나올 수 있는 용어까지 정리된 파일은 아래에 이메일을 남기면 보내드리겠습니다... 라고 말하고 싶은데 현재 훈련소에 있기 때문에 힘들 것 같네요. 제가 자대 배치가 9월일 예정이라 그 이후에 입소하시는 분이라면 아래 이메일을 남겨 주시면 자대 배치 받고 글 수정하면서 단어장 보내드리겠습니다. (직접 치고 온 뒤라서 정말 필요한 단어가 맞는지 확인해 드릴 수도 있고요.)
[A.A.F 이사 시리즈] 티스토리 블로그 다음 저품질 확인하고 해결하기
안녕하세요(;´д`)ゞ 나는 안 걸릴 거라고 생각했던 azunyaa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구글 애드센스에 관한 제가 아는 모든 팁들을 알려드렸는데요. 오늘은 조심하고 또 조심했지만 결국 저품
azunyaa.tistory.com
'내꺼 > 카투사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F 군대] 장병내일준비적금(군인적금) 조건과 가입 방법 (0) | 2021.08.16 |
---|---|
[A.A.F 군대] 카투사 논산 육군 훈련소 준비 (+ 자가격리) (0) | 2021.08.10 |
[A.A.F 군대] 카투사 보직과 자대 배치 (+ 자대별 특징) (2) | 2021.07.27 |
[A.A.F 군대] 카투사 KTA 교육 일정 및 ACFT 테스트 (2) | 2021.07.19 |
[A.A.F 군대] 카투사 지원 조건과 접수 방법 (+ 월별 경쟁률) (0) | 2021.07.13 |
댓글
azunyaa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